오라클 DECODE 개념 및 사용예제 (if else - 디코드)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라클에서 빈번하게 사용하는 함수 중 하나인 DECODE 함수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DECODE는 프로그래밍의 if else 와 비슷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조건을 주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CASE문 IF문이 있는데 이러한 조건문을 사용하면 쿼리문이 길어질 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는 오라클에서 조건이 동등문(==)일 경우에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DECODE라는 함수를 사용합니다. 💡 사용 문법 DECODE(컬럼, 조건1, 결과1, 조건2, 결과2, default_result) 위처럼 DECODE 함수는 첫번째 파라미터로 들어오는 칼럼을 기준으로 검사하고, 이 값이 조건1에 해당하면 결과1을 반환하고, 조건2에 해..
Linux - grep 명령어 사용법 (리눅스 문자열 검색하기) 💡 1. grep 명령어의 개념 grep은 입력으로 전달된 파일의 내용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고자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하지만 grep 명령어가 문자열을 찾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해서, 단순히 문자열이 일치하는지 여부만을 검사하는 것은 아니다. 문자열이 같은지(equal)만을 검사하는 수준을 넘어, 훨씬 복잡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그리고 매우 효율적으로 문자열을 찾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grep이 파일의 문자열을 검색할 때, 단순 문자열 매칭이 아니라,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에 의한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 정규 표..
상속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상속을 사용하는 이유 공통적인 부분을 가지고 있는 상위 클래스를 활용해 하위 클래스는 본인 고유의 상태와 행동을 정의하기 위함 코드의 확장성, 재사용성이 용이하고 중복된 코드를 상위 클래스로 빼기 때문에 코드가 간결해짐 결과적으로 유지보수가 쉬워짐 💡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 여러분 예를들어 자동차, 기차, 선박, 항공기, 우주선 클래스를 정의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이들의 공통점은 운반의 수단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럼 이제 항공기와 열차를 각 각 클래스 별로 정의해봅시다. ✔️ 항공기 탑승인원, 짐의 무게, 승무원의 인원 등 👉 멤버 변수 탑승하는 메서드, 짐싣는 메서드, 승무원의 탑승 등 👉 멤버 메서드 ✔️ 열차 탑승인원, 짐의 무게, 열차의 칸 수 등 👉 멤버 변수..
자바스크립트 - 페이지 로딩시 함수 호출 1. body 태그에 onload 2. window onload window.onload = 함수; 💡 onload 와 ready의 차이점 window.onload 같은 경우는 전체 페이지에 모든 외부 리소스나 이미지가 전부 불러와진 이후에 작동을 하게 된다. 해당 외부 리소스나 이미지의 양이 커 딜레이가 생길 때에는 그만큼의 시간을 기다렸다가 작동을 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 링크나 파일을 include했을 때 그 안에 window.onload가 중복되어 존재하게 된다면 둘 중 하나만 적용되는 큰 문제와 위 예제와 같이 body에서 사용하는 onload를 사용하게 된다면 모든 window.onload가 작동하지 않는 현상이 일어난다. 📌 이러한 문제를 ..
웹 서버(Web Server) 와 WAS (Web Application Server)의 차이점 서버를 개발함에 있어 기초적인 개념인 "웹 서버(Web Server)"와 "WAS(Web Application Server)"의 차이점을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 웹 서버(Web Server)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비스 웹 서버란 클라이언트(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서 어떠한 페이지 요청을 하면 웹 서버에서 그 요청을 받아 정적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ex) Apache, Nginx 여기서 정적 컨텐츠는 html, css, js, 이미지 등 즉시 응답 가능한 컨텐츠이다. *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올 때 가장 앞에서 요청에 대한 처리를 한다. 그렇다면 웹 서버는 정적 컨텐츠만 제..
[ORACLE] SELECT문 합쳐 결과 출력 - 유니온 (UNION / UNION ALL) 우리는 SELECT문을 사용해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렇게 조회한 여러개의 SELECT문을 가지고 데이터를 가공하고 싶다면 집합연산자 라는것을 활용하면 됩니다. 집합 연산자 집합연산자는 SELECT문을 활용해 조회한 데이터에 대해 연산하는 연산자이다. 집합 연산자에는 UNION, UNION ALL, INTERSECT, MINUS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 집합 연산자 중 UNION 과 UNION ALL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1. 합집합 UNION (중복 제거) 두개의 SELECT문을 서로 합치고 싶은데 그 중에서도 두 개의 조회문의 중복되는 데이터를 한번만 출력하고 싶다면 UNION을 사용하면 됩니..
MacOS - SQL Developer 실행안됨 오류 해결방법 3가지 최근 맥북을 싹 밀고 도커에 오라클 올려서 접속확인 후 SQL Developer를 설치해서 실행을 하는데 자꾸 정상적으로 실행이 안되는 현상이 있어 구글신에게 도움을 요청하던 중 3가지 케이스를 발견하여 포스팅하려 합니다. 참고로 필자는 3번째 방법으로 성공했습니다. 1. Mac 시스템 환경설정 > 지역을 변경하는 방법 첫번째는 Mac > 시스템 환경설정 > 언어 및 지역 메뉴에서 지역을 대한민국이 아닌 다른 곳으로 변경했다가 다시 대한민국으로 세팅해 주는 방법입니다. 지역을 다시 인식하게끔 변경해주는 작업입니다. 2. SQL Developer의 locale 정보를 직접 수정하는 방법 2-1 SQL Developer 우클릭 -> 패키지..
맥북에서 도커(Docker) 활용해 오라클(Oracle) 사용하는 방법 이전 포스팅에 MacOS에 도커(Docker)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도커를 아직 설치하지 못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오늘은 설치한 도커(Docker)를 활용해 오라클 DB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MacOS] 맥북에 도커(docker) 설치하는 법 [MacOS] 맥북에 도커(docker) 설치하는 법 MacOS에 도커(docker) 설치 - install Docker on MacOS 최근에 맥북 초기화를 하고 개발 프로그램들을 설치하는 김에 맥북(MacOS)에 도커(Docker)설치하는 방법을 포스팅하려 합니다. 오라클(Oracle)에서 Mac OS용.. devmoony.tistory.com MacOS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