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ven의 Web 환경을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바 컴파일 버전 설정과 Web 관련 라이브러리를 추가 및 Java와 Servlet 버전을 바꿔주는 작업을 해 주어야 한다. 1. Java의 Compiler 버전 설정 pom.xml에 아래 코드를 태그 안쪽에 추가해준다. org.apache.maven.plugins maven-compiler-plugin 3.6.1 1.8 1.8 프로젝트 -> Maven -> Update Project 빨간 오류 사라짐 2. Java와 Servlet 버전 바꿔주는 작업 톰캣 서버에 web.xml 파일의 윗 부분 주석을 제외하고 복사한다. 프로젝트의 web.xml의 윗 부분의 2.3버전으로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변경해 주어야 한다. 복사 해준것을 붙여넣기 해준다. 이제..
전체 글
초보개발자의 성장 기록1. new에 Maven Project 선택 2. 아래와 같이 설정 후 Next 3. Filter에 webapp 검색 후 Next 4. Group Id, Artifact Id 설정 5. 프로젝트 생성 완료 후 톰캣 서버 설정 * 빨간 오류 -> 프로젝트에서 server runtime 설정
1. 먼저 MaxOs에 내장되어 있는 VirtualBox를 실행한다. (vmWARE 가능) 2. 마이크로소프트에서 Window를 받아 연동 한다. 3. 설정 -> 네트워크 -> 고급 4. 포트 포워딩을 클릭하고 연결 5. 버츄얼박스에 설치된 Window에 Oracle을 설치하고 윈도우를 헤드리스로 시작 6. 이후 Mac에서 사용하면 된다.
배열 (Array) - String배열, String클래스, 2차원 배열 | String 배열 ▶ 변수의 타입에 따른 기본 값 자료형 기본값 boolean false char '\u0000' byte, short, int 0 long 0L float 0.0f double 0.0d 또는 0.0 참조형 null ▶ String 배열의 선언과 생성 String[] name = new String[3]; 3개의 문자열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배열 name 생성 ▶ String 배열의 초기화 String[] name = new String[3]; // 길이가 3인 Stirng 배열 생성 name[0] = "Kim"; name[1] = "Park"; name[2] = "Lee"; // 괄호{ }를 사용해 간단히 초..
1. 배열이란? 배열은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을 말한다. 배열 속 여러 개의 데이터의 묶음 중 각각의 데이터를 '요소'라고 부른다. 2. 배열의 선언과 생성 배열을 선언하는 건 단지 생성된 배열을 다루기 위한 참조변수를 위한 공간이 만들어질 뿐이다. 배열을 생성해야만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배열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연산자 'new'와 함께 배열의 타입과 길이를 지정해야 한다. 타입[ ] 변수이름; // 배열 선언 (배열을 다루기 위한 참조변수) 변수이름 = new 타입[길이]; // 배열 생성 (실제 저장공간 생성) * 배열의 선언과 생성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이렇게 한다. 타입[ ] 변수이름 = new 타입[길이]; // 배열의 선언..
배열은 총합과 평균, 최대값과 최소값, 섞기(shuffle)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1. 배열을 이용해 총합과 평균 구하기 배열의 모든 요소를 더하여 총합과 평균을 배열을 통해 구할 수 있다. ① 총합을 저장할 변수 sum과 평균을 저장할 변수 average를 선언한다. ② 배열 score를 선언 'int[] score' 하고 초기화{100, 88, 100, 100, 90} 한다. ③ for문의 i의 초기값은 0으로 두고 (배열의 요소는 0부터 시작하기 때문) 조건식은 i < score.length 로 설정하여 배열길이-1 이 된다. ④ for문의 조건식이 참일동안 sum에 score의 각 요소의 값이 중첩되어 더해진다. - i 가 0일 때 score의 1번째 요소값 100값이 sum에 더해진다. - ..
별찍기 1. 직각삼각형 (왼쪽) for(int i = 1; i i) { // 행의 숫자( i )보다 큰 경우에는 System.out.print(" "); // 공백 출력 }else { // 행의 숫자( i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System.out.print("*"); // * 출력 } System.out.println(); // 줄바꿈 } 1. 첫번째 for문으로 i의 변수를 이용해 5개의 행 구현 2. 두번째 for문에서 j 는 점점 줄어들게 구현을 한다. (1행부터 내려올 수록 공백 출력이 적어지게 하기 위해) 3. if문의 ' j > i '의 조건식은 j가 행의 수보다 큰 경우에 그 만큼의 공백을 출력한다. 4. else에서 j 가 행의 수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별(*)을 출력한다.
조건문과 반복문 문제 2 1+(1+2)+(1+2+3)+(1+2+3+4)+ ... +(1+2+3+4+5+6+7+8+9+10)의 결과를 계산해라. * 풀이 과정 * ① 1 부터 10까지 1씩 증가하는 반복문을 for를 이용하여 작성한다. (변수 i 에 저장) ② 반복할 때마다 sum(초기값 0인 변수)에 i 값만큼 더해지며 반복할 때마다 중첩되어 쌓인다. → i 값이 1부터 10까지 1씩 증가하여 변하는 동안 i 의 값을 누적해서 sum에 저장한다. ex ) i 가 1일 때 sum = 1 → i 가 2일 때 sum = 3 → i 가 3일 때 sum = 6 → sum = 10 → sum = 15 → ... → sum = 55 ③ 따라서 1+(1+2)+(1+2+3)+(1+2+3+4)+ ...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