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

조건문과 반복문 문제 1 1부터 20까지의 정수 중에서 2 또는 3의 배수가 아닌 수의 총합을 구하라. * 풀이 과정 * ① 우선 for문으로 반복될 때마다 i (정수타입 변수) 값에 1부터 20까지의 정수 값이 저장되어 내려가게 한다. ② 1 ~ 20의 정수가 순서대로 if문의 조건식에 들어가게 된다. ③ 총합을 저장할 변수(sum)를 잡고 if문의 조건식이 참이면 sum에 i의 값을 더해준다. ④ 전체 for문 바깥에 print문으로 sum을 출력한다. 결과 값 → 73 * 주의할 점 * ▶ int sum 변수를 선언할 때 반드시 for문 위쪽에 위치시켜야 한다. (for문 안쪽을 위치로 하면 반복할 때마다 초기화가 되기 때문에) ▶ '배수' 라는 단어가 나오면 %(나머지 연산자)를 이용해 나누어 떨..
1. JUnit 이란 Junit은 자바용 단위 테스트 작성을 위한 산업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2. JUnit 페이지 Getting Start JUnit 5 Société Générale Use, Contribute and Attract: learn about Société Générale's open source strategy. junit.org junit-team/junit4 A programmer-oriented testing framework for Java. Contribute to junit-team/junit4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3. 애자일 방범론을 사용하는 JUnit Test Maven에서 Package할 ..
배열 (Array) - String배열, String클래스, 2차원 배열 | String 배열 ▶ 변수의 타입에 따른 기본 값 자료형 기본값 boolean false char '\u0000' byte, short, int 0 long 0L float 0.0f double 0.0d 또는 0.0 참조형 null ▶ String 배열의 선언과 생성 String[] name = new String[3]; 3개의 문자열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배열 name 생성 ▶ String 배열의 초기화 String[] name = new String[3]; // 길이가 3인 Stirng 배열 생성 name[0] = "Kim"; name[1] = "Park"; name[2] = "Lee"; // 괄호{ }를 사용해 간단히 초..
1. 배열이란? 배열은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을 말한다. 배열 속 여러 개의 데이터의 묶음 중 각각의 데이터를 '요소'라고 부른다. 2. 배열의 선언과 생성 배열을 선언하는 건 단지 생성된 배열을 다루기 위한 참조변수를 위한 공간이 만들어질 뿐이다. 배열을 생성해야만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배열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연산자 'new'와 함께 배열의 타입과 길이를 지정해야 한다. 타입[ ] 변수이름; // 배열 선언 (배열을 다루기 위한 참조변수) 변수이름 = new 타입[길이]; // 배열 생성 (실제 저장공간 생성) * 배열의 선언과 생성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이렇게 한다. 타입[ ] 변수이름 = new 타입[길이]; // 배열의 선언..
배열은 총합과 평균, 최대값과 최소값, 섞기(shuffle)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1. 배열을 이용해 총합과 평균 구하기 배열의 모든 요소를 더하여 총합과 평균을 배열을 통해 구할 수 있다. ① 총합을 저장할 변수 sum과 평균을 저장할 변수 average를 선언한다. ② 배열 score를 선언 'int[] score' 하고 초기화{100, 88, 100, 100, 90} 한다. ③ for문의 i의 초기값은 0으로 두고 (배열의 요소는 0부터 시작하기 때문) 조건식은 i < score.length 로 설정하여 배열길이-1 이 된다. ④ for문의 조건식이 참일동안 sum에 score의 각 요소의 값이 중첩되어 더해진다. - i 가 0일 때 score의 1번째 요소값 100값이 sum에 더해진다. - ..
별찍기 1. 직각삼각형 (왼쪽) for(int i = 1; i i) { // 행의 숫자( i )보다 큰 경우에는 System.out.print(" "); // 공백 출력 }else { // 행의 숫자( i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System.out.print("*"); // * 출력 } System.out.println(); // 줄바꿈 } 1. 첫번째 for문으로 i의 변수를 이용해 5개의 행 구현 2. 두번째 for문에서 j 는 점점 줄어들게 구현을 한다. (1행부터 내려올 수록 공백 출력이 적어지게 하기 위해) 3. if문의 ' j > i '의 조건식은 j가 행의 수보다 큰 경우에 그 만큼의 공백을 출력한다. 4. else에서 j 가 행의 수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별(*)을 출력한다.
조건문과 반복문 문제 2 1+(1+2)+(1+2+3)+(1+2+3+4)+ ... +(1+2+3+4+5+6+7+8+9+10)의 결과를 계산해라. * 풀이 과정 * ① 1 부터 10까지 1씩 증가하는 반복문을 for를 이용하여 작성한다. (변수 i 에 저장) ② 반복할 때마다 sum(초기값 0인 변수)에 i 값만큼 더해지며 반복할 때마다 중첩되어 쌓인다. → i 값이 1부터 10까지 1씩 증가하여 변하는 동안 i 의 값을 누적해서 sum에 저장한다. ex ) i 가 1일 때 sum = 1 → i 가 2일 때 sum = 3 → i 가 3일 때 sum = 6 → sum = 10 → sum = 15 → ... → sum = 55 ③ 따라서 1+(1+2)+(1+2+3)+(1+2+3+4)+ ... +(1+2+3+....
반복문 (for, while) " 반복문은 어떤 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때 사용한다. " - 반복문의 종류 : for문, while문, do-while문 - for문 1. 반복 횟수를 알고 있을 때 사용 - 번호가 있는 데이터, 개수가 정해져 있는 데이터 2. 배열과 함께 주로 많이 사용 - while문 1. 무한 루프나 특정 조건에 만족할 때 까지 반복해야 할 경우 2. 주로 파일을 읽고 쓰기에 많이 사용 - do-while문 1. 무조건 최소 한 번은 수행된다. 초기식 - 반복문에 사용될 변수를 초기화 하는 부분이고 처음에 한번만 수행됩니다. - 변수가 2개 이상이 필요할 때에는 콤마','를 구분자로 사용하여 변수를 초기화 한다. 단 2개의 변수 타입은 같아야 한다. 조건식 - 반복할 때 t..